학회소식

의대증원 반대 전의교협 탄원서

1,150 2024.05.18 09:23

첨부파일

짧은주소

본문

의대증원 반대 전의교협 탄원서

 

전의교협에서 준비한 탄원서입니다. 

현재 1.3만여명의 의대재학생이 제기한 '의대정원 증원 가처분 신청' 3개가 결정나지 않은 상황입니다. 또한, 지난 5월 16일 기각으로 결정난 가처분 신청은 대법에 즉각 재항고되었기에 이 가처분 신청에 대한 결정이 인용으로 나올 수 있도록 우리 함께 끝까지 노력해 봐요!~

모든 국민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어제의 결정으로 용산만 행복하고 국민과 전 의료계는 불행해지고있습니다. K의료의 파멸을 막아 모든 국민이 행복해지는 그 날까지 우리 모두 힘을 모아봅시다!  요일까지 탄원서를 받아 월요일에 법원에 제출예정입니다.

 

▶탄원서 Google form 바로가기:

https://forms.gle/ar1dvvAMwuwZSxmJ7

 

▶탄원서(급격한 의대증원은 공공복리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서울고법 행정7부는 의대 교수와 전공의, 수험생 등 18명이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제기한 의대 증원 취소 소송의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항고심에 대해 각하 또는 기각 결정을 내렸습니다.

행정소송법상 집행정지의 요건은 △신청인 적격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한 필요가 있을 것 △공공의 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없을 것 등입니다. 재판부는 “의대생 신청인들의 학습권 침해 등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한 필요성은 인정할 수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처분의 집행을 정지하는 것은 의대증원을 통한 의료개혁이라는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고, 전자를 일부 희생하더라도 후자를 옹호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3058명인 의대정원을 2025년도 4547 - 4567명(50% 증가), 2026년부터 4년간 5058명(65% 증가)으로 한꺼번에 늘리는 급격한 증원은 그 부작용이 매우 크고, 오히려 공공복리에 유해한 결과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 이에 전의교협에서는 "급격한 의대증원은 공공복리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라는 입장에 찬성하시는 여러분의 탄원을 모아서, 의대재학생 1만3천여명이 신청인으로 참여 중인 3개의 행정 항고심 재판부인 서울고등법원 행정4-1부, 행정 8-1부에 의대증원 집행정지 가처분 인용을 요청하고자 합니다. 

문의처: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mpark@yuhs.a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861건 1 페이지